주일 예배를 강조하는 목사의 설교에서 감사도 은혜도 축복도 사랑도 없이 그냥 지껄이는 소리만 한다면 성도는 어떻게 해야 할까? 심지어 정치인을 욕하거나 세상이 저주하는 듯한 소리를 한다면 이런 교회에서 악을 배우면서 싸움을 배우면서 어떻게 기독인이라고 할 수 있을까 싶다.
우리는 왜 하나님을 믿는가?
하나님을 믿는 것에 고민하지 않고 다니는 사람이 혹시 있을까 싶다. 우리는 왜 하나님을 믿는가? 이 질문은 신앙의 본질을 다시 생각하게 한다. 우리는 하나님의 사랑과 은혜를 경험하고, 그 안에서 평안과 소망을 얻기 위해 믿음을 갖는다. 서로 사랑하고 용서하며, 세상의 빛과 소금처럼 살아가라는 가르침을 따르기 위함이다. 만약 교회가 이러한 본질에서 벗어나 분열과 정죄를 조장하는 것처럼 느껴진다면, 깊이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
하나님을 믿는 것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과정일지도 모른다. 우리의 믿음은 때로는 흔들리기도 하고, 이해하기 어려운 현실 앞에서 질문을 던지게 된다. 중요한 것은 그 고민을 통해 더욱 성숙한 믿음으로 나아가는 것이다.
건강한 신앙 생활은 긍정적이고 건설적인 가르침을 통해 이루어진다. 사랑과 용서, 은혜와 감사가 넘치는 공동체 안에서 우리는 하나님과의 관계를 더욱 깊이 맺고, 세상에 선한 영향력을 끼칠 수 있다.
만약 현재의 교회가 이러한 방향과 다르다고 느껴진다면, ① 진지하게 대화를 시도하거나, ② 더 나아가 자신에게 맞는 신앙 공동체를 찾아보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일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어떤 상황에서도 하나님을 향한 믿음을 잃지 않고, 그 안에서 참된 평안과 기쁨을 누리는 것이다.
대부분의 성도는 사실 설교에 실망했다고 교회를 옮기지는 않는다. 이유는 교회는 예배와 가르침 그리고 교제와 전도 그리고 봉사의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설교는 사실 큰 비중을 차지 하기도 하지만 어떤 성도에게는 큰 비중이 아닌 경우도 많다. 기독교 서적이나 유튜브를 통해 좋은 설교 말씀을 접할수 있기 때문에 대체가 가능한 게 현실이다.
선생님이 싫다고 학교를 안가겠다고 하는 초등학생 수준이 목사 설교가 싫어서 교회 옮기겠다는 소리하는 것이다. 길게 보면 목사도 교체 되거나 바뀔 수 있는 문제이기 때문에 사실 기다리면 된다. 인내의 열매는 그래서 중요한 덕목이 되는 것이다.